-
목차
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
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가입자는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
정부는 이에 대해 최대 월 33,000원까지 기여금을 지급합니다.
또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제공됩니다.- 가입기간: 60개월
- 납입한도: 1,000원 ~ 700,000원
- 금리: 3년 고정, 2년 변동 (은행 자율 결정)
- 혜택: 정부기여금 + 비과세 + 신용점수 가점 등
가입 조건 완벽 정리
가입 자격은 아래 세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나이
-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
-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제외 가능
개인소득
- 전년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
- 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
- 육아휴직급여, 군 장병급여 등 비과세 소득만 있을 경우 제외
가구소득
-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- 가구원은 본인 +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미성년 형제자매 포함
가구원 수 연간 소득 기준(250%) 1인 가구 62,336,760원 2인 가구 103,684,650원 3인 가구 133,044,480원 4인 가구 162,028,920원 5인 가구 189,920,640원
정부기여금 지급 구조
정부기여금은 납입금액과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소득 구간월 납입 40~70만 원 시 최대 기여금소득 구간 월납입 40~70만원 시 최대 기여금 2,400만원 이하 최대 33,000원 (6.0%) 3,600만원 이하 최대 29,000원 (4.6%) 4,800만원 이하 최대 25,200원 (3.7%) 6,000만원 이하 최대 21,000원 (3.0%) 7,500만원 이하 지급 없음 ※ 청년희망적금 재가입자의 경우 지급 비율이 조정됩니다.
※ 기여금은 1년 단위 유지심사를 통해 재산정됩니다.
일시납입 제도 총정리
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자라면,
해당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는 제도가 신설되었습니다.- 최소 200만원부터 최대 전액까지 납입 가능
- 월 설정금액 선택 (40·50·60·70만원 중 택1)
- 설정금액에 맞춰 월 전환납입 간주
- 일시납입금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지급
💡 예시:
청년희망적금 수령금 1,280만원 → 월 40만원 설정 → 전환기간 32개월 적용
※ 전환기간 종료 후에만 신규 납입 가능
유지심사 절차와 적용 기준
가입 후 매년 1회, 정부기여금 유지 여부를 평가하는 유지심사가 진행됩니다.
유지심사 절차
- 대상자 확정
- 개인소득 확인 (국세청 자료 활용)
-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 재산정
- 결과 통보 및 1년간 적용
주요 포인트
- 소득이 없더라도 육아휴직급여, 군급여 있으면 예외 인정
- 소득 초과 시 정부기여금 지급 중단
- 비과세 혜택은 만기까지 유지됨
- 계좌 자체는 해지되지 않음
가입 및 신청 방법
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전면 비대면으로 진행됩니다.
신청 경로
- 취급은행 앱 접속 (국민, 신한, 농협, 하나 등)
- 매월 신청 가능
신청 순서
- 개인 자격 확인
- 가구원 정보 확인 및 동의 절차 진행
- 소득 확인 및 심사 (약 2주 소요)
- 심사 통과 시 계좌 개설 및 납입 개시
신청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
- 계좌는 1인 1계좌만 가능
-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
- 직전 과세기간 금융소득종합과세자면 가입 제한
- 정부기여금 부정 수령 시 환수 및 제재 발생
청년도약계좌 정책 연계 혜택
청년도약계좌는 단독 상품이 아닙니다.
다양한 정책사업과 연계되어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주거 지원
- 만기 수령금 → 청약통장에 일시 납입 가능
- 이후 청년주택드림 대출로 연계 지원
창업 지원
- 창업중심대학과 연계
- 예비 창업자 대상 교육 및 사업화 자금 지원
📌 지금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가장 좋은 타이밍입니다.
혜택은 강화되었고, 조건은 완화되었습니다.
앱으로 10분이면 신청 가능하니, 자산 형성의 첫걸음을 바로 시작해보세요!'정부정책 알아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CS 자소서, 이 흐름만 알면 통과 확률 달라집니다 (0) 2025.04.03 이력서에 쓸 게 없다면? 직무능력계좌로 자격증을 경력처럼! (0) 2025.04.03 2025 복지지원금 부정수급 신고, 어디에 어떻게 하면 될까? (0) 2025.04.02 [정부청년대출 총정리] 조건부터 신청 팁까지, 정부청년대출 완벽 가이드 (0) 2025.03.30 청년도약계좌로 수백만 원 받았다?! 자주 묻는 질문 완전 해설 (0) 2025.03.24